하나의 문제에 상황에 따른 수십가지의 해결 알고리즘이 존재 합니다. Ex. 1 부터 100 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 → 알고리즘 1 : 1 + 2 + 3 + ··· + 98 + 99 + 100 → 알고리즘 2 : ( 1 + 100 ) * 100 / 2 만일 100까지의 합이 아니라 100,000까지의 합이라면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값을 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알고리즘 2가 데이터 갯수가 커지더라도 수행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에 좋은 알고리즘 입니다. 이런 분석방법을 시간복잡도 ( Time Complexity ) 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