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잊지 않기 위해/여러가지 7

[알고리즘] 알고리즘 성능표시

빅오 표기법 ( Big-Oh Notation ) : O( f(n) ) 형태로 표기 위의 그림과 같은 알고리즘에서 알고리즘 1은 O(n), 알고리즘 2는 O(1)으로 표시 됩니다. 빅-오 표기법에서는 가장 높은 항만 표기하고 계수는 생략 합니다. 예를 들어 (5n2 + n + 100 ) 를 O(n2)으로 표기 합니다. 빅-오 표기법은 정확한 연산 횟수가 아닌 대략적인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대표 함수로는 O(1), O(log n), O(n log n), O(n2), O(n3), O(2n) 등이 있습니다. O(2n) 의 경우 데이터 갯수가 몇개 증가하지 않아도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정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보면 버블정렬은 O(n2), 퀵 정렬은 O(n log n)로 퀵정..

[알고리즘] 알고리즘의 성능

하나의 문제에 상황에 따른 수십가지의 해결 알고리즘이 존재 합니다. Ex. 1 부터 100 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 → 알고리즘 1 : 1 + 2 + 3 + ··· + 98 + 99 + 100 → 알고리즘 2 : ( 1 + 100 ) * 100 / 2 만일 100까지의 합이 아니라 100,000까지의 합이라면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값을 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알고리즘 2가 데이터 갯수가 커지더라도 수행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에 좋은 알고리즘 입니다. 이런 분석방법을 시간복잡도 ( Time Complexity ) 라고 합니다.

메타버스 거울세계

현실 세계를 그대로 옮긴 샌드박스 - 마인크래프트 컴퓨터 그래픽이 질적인 면에서 좋지 않다는 평에도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이유는 모든 활동을 학교나 선생님이 아닌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진행.(자신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것에 대한 자부심, 애착 - 노력 정당화 효과) 거울세계 - 현실 셰계에 효율성과 확장성을 더함 - 휴가계획에 여행지 검색(사진, 위치, 평가 등) 활용. p88 배달 메타버스에서는 먹기 전에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는 것이 있어요. 바로 거울 세계의 확장성의 중요한 요소인 후기, 평점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후기와 평점을 남길 때 조심해야 해요. 음식을 만드는 식당도, 음식을 시키는 고객도 이 후기와 평점으로 손해를 보면 안 되니까요. 가령 거짓으로 맛이 없다고 하거나, 형편없는 맛을 돈..

싸이월드 Vs 페이스북

접근성 과거 싸이월드는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는 데 바해 페이스북은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접속 메뉴의 단순화 사용자 메뉴가 싸이월드에 비해 페이스북이 훨씬 편하고 단순 플랫폼적 특성 싸이월드의 사용자들은 도토리를 바탕으로 싸이월드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안에서만 사용 가능. 페이스북은 플랫품안에서 다른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하게함 (사용자와 기업 양측에 문을 열어주며 사용자들이 나가지 않고 페이스북 안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함) 출처 : 김상균 교수의 메타버스(어린이를 위한 디저털 지구)

소셜 미디어를 통해 친구를 사귀는 이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친구를 사귀는 이유 자신이 겪은 좋은 일이나 자쁜 일에 대해 더 많은 사람으로부터 인정이나 축하, 위로나 격려를 받고 시은 마음. 소셜 미디어의 특성상 현실에서보다 많은 사람들과 만날 수 있고 반응도 더 빨리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행복하거나 위로가 됨. 즐거운 일이 있을거라는 기대감 '도 파민' , 즐거운일 '엔도르핀' 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도면서 쾌락과 같은 행복감을 느낌. 단, 이 감정은 끝이 없음(결국 우리는 끝도 없는 즐거움을 위해 소셜 미디어에 무언가를 끊이없이 올리고 다른 사람의 반응을 살피고 자신도 반응하게 됨) 즉, 점점 더 많은 칭찬과 위로를 받고 싶어지게됨. 소셜 미디어 속 반응에 너무 깊이 빠지면 현실 세계오 단절 될 수 있음. 통제감 현실 세계에서 마음에 들지 ..

라이프프로깅

라이프로깅 자신이 사는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생활하고 누구를 만나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등 삶에 관한 여러 가지 경험과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고, 어떨 때는 여러 사람들과 공유하는 활동( P58) 소셜미디어(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이용 소셜 미디어에 공유하는 내용 자신의 생각, 자신이 하고 있는 활동, 자신이 추천하고 싶은 것, 관심 있는 뉴스 기사, 관심 있는 다르 ㄴ사람의 라이프로그, 자신이 느끼는 감정, 자신의 미래 계획 편집자신의 실제 모습과 생활 중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모습은 대부분 삭제하고, 남은 부분 역시 그대로 올리는 것이 아니라 보기 좋게 다듬어서 업로드 출처 : 김상균 교수의 메타버스(어린이를 위한 디저털 지구)

알고리즘의 성능

문제는 하나이지만 해결방법은 수십가지. 이런 여러가지 해결방법 중 무엇이 좋은 해결 방법일까? 그것은 자료의 양에 상관없이 시간이 조금 걸리는 알고리즘이 좋은 알고리즘이다. 좋은 알고리즘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는 시산 복잡도(Time Complexity)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Q1. 1부터 100까지의 합을 구하시오. A1. 1+2+3+ ... 98+99+100 = A2. (1+100) * 100/2 위의 A1, A2 어느 방법으로든 답은 구할수 있다. 하지만, 더해야 하는 숫자가 100이 아니라 1,000 이나 10,000이라면? 이것보다 더 큰 숫자라면 어떨까? # 알고리즘의 성능 표시 - 빅-오 표기법(Big-Oh Notation) : O(F(n)) 형태로 표시 * 앞의 예에서 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