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문제에 상황에 따른 수십가지의 해결 알고리즘이 존재 합니다.
Ex. 1 부터 100 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
→ 알고리즘 1 : 1 + 2 + 3 + ··· + 98 + 99 + 100
→ 알고리즘 2 : ( 1 + 100 ) * 100 / 2
만일 100까지의 합이 아니라 100,000까지의 합이라면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값을 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알고리즘 2가 데이터 갯수가 커지더라도 수행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에 좋은 알고리즘 입니다.
이런 분석방법을 시간복잡도 ( Time Complexity ) 라고 합니다.
'내가 잊지 않기 위해 > 여러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알고리즘 성능표시 (0) | 2022.08.04 |
---|---|
메타버스 거울세계 (0) | 2022.06.15 |
싸이월드 Vs 페이스북 (0) | 2022.06.15 |
소셜 미디어를 통해 친구를 사귀는 이유 (0) | 2022.06.14 |
라이프프로깅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