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첫 통계 with 베이즈_2_집합과 확률 기호의 '완전' 기초
02 집합과 확률 기호의 '완전' 기초 베이즈 통계에서는 집합과 확률 기호를 많이 사용. 집합(universal set, U) : 특정한 조건에 맞는 별개의 원소들의 모임 여기는 벤다이어그램을 봐야 편한데... 전체 집합 : U = {1,2,3,4,5,6,7} 홀수 : A = {1,3,5,7} A를 제외한 나머지 = 짝수 : Ac = {2,4,6} 집합 A의 개수는 n(A)으로 나타냄 : n(A) = 4 확률(probability, P) : A가 일어날 확률은 P(A)로 나타냄 홀수가 나올 확률 : P(A) = P({1,3,5,7}) = n(A)/n(U) = 4/7 집합 A와 집합 B가 있을때 집합 A와 집합 B를 합한 부문을 합집합(A∪B), 집합 A와 집합 B의 공통 부문을 교집합(A∩B) 으로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