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잊지 않기 위해 72

Agile Principles(애자일 12가지 원칙)

제 01원칙: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고객 만족 제0 2원칙: 요구사항 변경 수용 제 03원칙: 짧은 배포 간격 제 04원칙: 함께 일하기 제 05원칙: 동기 부여된 팀원들로 프로젝트팀 만들기 제 06원칙: 얼굴 보고 대화하기 제 07원칙: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진도 측정 제 08원칙: 지속 가능한 개발 속도 유지 제 09원칙: 좋은 기술, 설계에 관심 제 10원칙: 단순성 제 11원칙: 자기 조직화 팀 제 12원칙: 정기적으로 효율성 제고

Agile Manifesto(선언문)

애자일 선언문은 모든 항목에 본질적인 가치가 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지만 왼쪽(굵게 표시) 항목을 오른쪽 항목보다 중시하면 제품 개발에 있어 더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애자일 선언문은 일련의 프랙티스를 규정하지는 않으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길잡이에 가깝다. 개인과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프로세스 및 툴보다 우선 (Individuals and interactions over processes and tools)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가 포괄적인 문서보다 우선 (Working software over comprehensive documentation) 고객과의 협업이 계약 협상보다 우선 (Customer collaboration over contract nego..

PMBOK GUIDE 제 7판 목차

프로젝트관리 표준서 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지침서(PMBOK® GUIDE) 1. 서론 1.1 프로젝트관리 표준서의 목적 1.2 주요 용어 및 개념 1.3 이 표준서의 사용 대상 2. 가치 인도 시스템 2.1 가치 창출 2.1.1 가치 인도 구성요소 2.1.2 정보 흐름 2.2 조직 거버넌스 시스템 2.3 프로젝트 관련 기능 2.3.1 감독 및 조율 제공 2.3.2 목표 및 피드백 제시 2.3.3 촉진 및 지원 2.3.4 업무 수행 및 통찰력 기여 2.3.5 전문 지식 적용 2.3.6 비즈니스 방향 및 통찰력 제공 2.3.7 자원 및 방향 제공 2.3.8 거버넌스 유지관리 2.4 프로젝트 환경 2.4.1 내부 환경 2.4.2 외부 환경 2.5 제품 관리 고려사항 3. 프로젝트 관리 원칙 3.1 성실하고 존경할..

[알고리즘] 알고리즘 성능표시

빅오 표기법 ( Big-Oh Notation ) : O( f(n) ) 형태로 표기 위의 그림과 같은 알고리즘에서 알고리즘 1은 O(n), 알고리즘 2는 O(1)으로 표시 됩니다. 빅-오 표기법에서는 가장 높은 항만 표기하고 계수는 생략 합니다. 예를 들어 (5n2 + n + 100 ) 를 O(n2)으로 표기 합니다. 빅-오 표기법은 정확한 연산 횟수가 아닌 대략적인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대표 함수로는 O(1), O(log n), O(n log n), O(n2), O(n3), O(2n) 등이 있습니다. O(2n) 의 경우 데이터 갯수가 몇개 증가하지 않아도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정렬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보면 버블정렬은 O(n2), 퀵 정렬은 O(n log n)로 퀵정..

[알고리즘] 알고리즘의 성능

하나의 문제에 상황에 따른 수십가지의 해결 알고리즘이 존재 합니다. Ex. 1 부터 100 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 → 알고리즘 1 : 1 + 2 + 3 + ··· + 98 + 99 + 100 → 알고리즘 2 : ( 1 + 100 ) * 100 / 2 만일 100까지의 합이 아니라 100,000까지의 합이라면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값을 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많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 알고리즘 2가 데이터 갯수가 커지더라도 수행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에 좋은 알고리즘 입니다. 이런 분석방법을 시간복잡도 ( Time Complexity ) 라고 합니다.

[Book] 첫 통계 with 베이즈_2_집합과 확률 기호의 '완전' 기초

02 집합과 확률 기호의 '완전' 기초 베이즈 통계에서는 집합과 확률 기호를 많이 사용. 집합(universal set, U) : 특정한 조건에 맞는 별개의 원소들의 모임 여기는 벤다이어그램을 봐야 편한데... 전체 집합 : U = {1,2,3,4,5,6,7} 홀수 : A = {1,3,5,7} A를 제외한 나머지 = 짝수 : Ac = {2,4,6} 집합 A의 개수는 n(A)으로 나타냄 : n(A) = 4 확률(probability, P) : A가 일어날 확률은 P(A)로 나타냄 홀수가 나올 확률 : P(A) = P({1,3,5,7}) = n(A)/n(U) = 4/7 집합 A와 집합 B가 있을때 집합 A와 집합 B를 합한 부문을 합집합(A∪B), 집합 A와 집합 B의 공통 부문을 교집합(A∩B) 으로 나타..

대푯값( = 중심경향치 )

중심경향치(Central tendency,中心傾向値)는 통계학 및 수학에서 자료 데이터 분포의 중심을 보여주는 값으로서 자료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값을 이르는 말이다. 대푯값이라도 한다. 중앙값만을 가리키지는 않으며 또한 중앙값으로는 중심경향치를 온전히 다룰수없기에 '중심의 집중도'라는 유의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최빈값, 중앙값, 평균 값 등을 주요하게 함께 다룸으로써 자료의 데이터 분포를 전체적인 맥락에서 중심경향성을 살펴보는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대적인 개념으로 변산성(variability)이 있다.(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설명은 너무 어렵다. ㅜㅜ 나름대로 쉽게 정리 해 봄 @ 대푯값 : 데이터의 특징이나 경향을 나타내는 지표. - 평균(mean)/기댓값, 중앙값(median), 최빈값(mode)..

[Book] 첫 통계 with 베이즈_1_베이즈 통계란?

일반적인 것보다 쉽게 쓰려고 노력한 것을 보이지만, 그것이 전체를 포괄하는 것이지는 잘 모르겠다. 무언가를 설명할때 초등학생에게 이야기 하는 것과, 대학생에게 이야기 하는 것이 다르듯, 이것 역시 그러하다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여기에 기초지식이라고 하는 것 중에 얼마나 알고 있을까? 베이스 통계란? 이라는 제목이지만 통계에 대한 기초적인 것을 다루고 있었다. 중간 중간 내 짧은 지식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책을 덮을 이유는 아니니 계속해서 Go. 01 베이즈 통계란? [기초 지식 1] 통계가 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상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미래로 이어 주는 것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정,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분석, 결과/교훈의 과정을 거침. 통계를 이용하기 앞서 데이터를 깔끔하게 집계하..